스코필드와 홍기조 인물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9 15:37
본문
Download : 스코필드와 홍기조 인물조사.hwp
스코필드,홍기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항일운동을 벌이던 마을 주민 23명이 무참히 희생당한 ‘제암리 학살사건’이 세상에 알려진 것도 위험을 무릅쓰고 마을에 들어가 사진을 찍었던 스코필드 박사의 덕이 컸다.
한국 이름 석호필(石虎弼). 1916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 세균학 교수로 내한한 후, 3 ·1 운동이 일어나자(1919) 교직을 포기하고 이 운동에 적극 협력하면서 일제의 포악상을 외국에 알렸다.스코필드,홍기조 , 스코필드와 홍기조 인물조사인문사회레포트 ,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스코필드와 홍기조 인물조사.hwp( 44 )
스코필드와 홍기조 인물조사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920년 조선총독부 당국에 의해 강제출국을 당할 때도 총독에게 청하여 옥고(獄苦)를 겪고 있는 이상재(李商在) ·이갑성(李甲成) ·오세창(吳世昌) 등 독립지사를 일일이 면회하고 격려하였다. 캐나다로 돌아간 후에도 3ㆍ1운동의 기록을 토대로 일제 식민통치의 진실을 알리는 데 주력했고 캐나다에서 대학교수로 있다가 광복 후에는 한국에 영구 귀국해 후학을 양성하고 고아를 돌보았고 1958년 대한민국 政府(정부)수립 10주년 경축식전에 초빙되었으며, …(省略)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