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설의 명칭, 작자, 독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1 06:19
본문
Download : 고소설의 명칭, 작자, 독자.hwp
1. 고대소설
이 명칭은 신소설이 출판되고 난 뒤에 쓰기 처음 한 것으로 출판업자들이 쓰기 처음 한 것이다. 그러나 소설은 조선 시대에 와서야 나왔으므로, 조선시대에 나온 소설 앞에 고대라는 말을 붙이면 시간상 오해의 소지가 있다아
2. 이조소설, 이조시대소설, 조선소설, 조선조소설, 조선왕조소설, 조선시대소설
고대소설이라는 명칭의 대안으로 제시된 명칭으로 소설이 형성되어 크게 융성했던 시기가 조선시대이니 그 앞에 이조 또는 조선이라는 왕조나 나라이름을 넣어 부르자는 것이다.
4. 고전소설
조선시대에…(투비컨티뉴드 )





본 자료(資料)는 고소설의 명칭, 작자, 독자에 대해 요점한 리포트입니다.
고소설의 명칭, 작자, 독자
Download : 고소설의 명칭, 작자, 독자.hwp( 87 )
,감상서평,레포트
고소설5
설명
Ⅰ. 고소설에 대한 槪念
Ⅱ. 고소설의 명칭, 작자, 독자
1. 명칭
2. 작자
3. 독자
1. 명칭
고소설의 명칭사용에 대해 지금까지 많은 논의가 있었는데, 이 논의에서 제기된 각 명칭의 결점과 타당성을 요약해 본다. 그 뒤에 학계에서 이를 아무 비판없이 받아들여 학자들이 국문학사나 개설서에서 쓰고, 연구 논문이나 전공서의 이름으로 사용하였다.
순서
본 자료는 고소설의 명칭, 작자, 독자에 대해 정리한 리포트입니다.
◇결점: 문학 양식에 왕조나 시대를 덧붙여 말하는 일은 흔하지 않고, 이를 통용할 시에는 신라나 고려 때에도 소설이 있었던 것처럼 인식되기도 한다. 또한 이씨왕조의 존속기간 중에 신소설도 출현했기 때문에, 이조소설이라고 하면, 개화기 이전의 소설만을 지칭하려는 본래의 뜻에 어긋나게 된다
3. 전기소설
장덕순과 민병수가 주장한 바에 따르면 고대소설이나 이조소설이란 용어가 고소설의 특질을 드러낼 수 있는 갈래론적 槪念을 지닌 용어가 아니기 때문에 대신, china문학의 갈래 명칭을 차용한 문학사의 양식론적인 명칭인 전기소설을 쓰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결점: 고대라는 용어는 시간적인 의미로 고조선에서 고려초기를 이르는 시기이다.
◇결점: 傳奇라는 것은 china 문학 양식의 한 명칭으로 우리나라 소설의 형성 발달에도 influence을 미쳐서 금오신화를 비롯한 많은 전기적인 작품이 나왔으나, 영조·정조 시대 이후에는 전기적인 속성을 벗어난 작품이 많이 나왔다. 즉 전기소설은 고조설의 일부이기 때문에 개화기 이전에 나온 소설 전체를 대표하는 명칭으로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다.고소설5 , 고소설의 명칭, 작자, 독자감상서평레포트 ,
레포트/감상서평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