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report) ] 단시간노동자보호 / 단시간 노동자보호 Ⅰ.의의 근기법 제21조는 「이 법에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21:39
본문
Download : 단시간노동자보호.hwp
」 고 규정하고 있따 제3차 산업의 발달, 여성 노동인구의 증가 등을 배경으로 시간제 근로자가 점차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법적 규제를 통해 단시간 근로자를 보호할 당위성이 있는 것이다. Ⅱ. 단시간 근로자의 근로조건 단시간 근로자의 근로조건은 당해 사업장의 동종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근로자의 근로시간을 기준으로 산정한 비율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2. 임금의 계산 단시간 근로자의 임금산정단위는 시간급을 원칙으로 하며 ‘일급통상임금’은 시간급에 4주 平均(평균) 1일 소정근로시간을 곱한 금액으로 하,되 이 경우 4주 平均(평균) 1일 소정근로시간은 4주간의 소정 근로시간을 4주간의 총일수로 나눈 것을 말한다(시행령별표1의2). 단시간 근로자가 받는 임금 및 상여금 등의 금전적 대우는 일반 근로자와 많은 차이가 없다. 물론 단시간 근로자는 채용의 기준, 배치, 교육훈련 등에 있어서 일반 근로자와 달리 취급되고 있으며 업무의 범위와 책임도 일반 근로자에 비해 제...
순서
Download : 단시간노동자보호.hwp( 17 )
단시간 노동자보호 Ⅰ. 의의 근기법 제21조는 「이 법에서 ’단시간 근로...





다.단시간 노동자보호 Ⅰ. 의의 근기법 제21조는 「이 법에서 ’단시간 근로...
설명
레포트 단시간노동자보호 / 단시간 노동자보호 Ⅰ.의의 근기법 제21조는 「이 법에서
레포트 > 기타
[레포트(report) ] 단시간노동자보호 / 단시간 노동자보호 Ⅰ.의의 근기법 제21조는 「이 법에서
단시간 노동자보호 Ⅰ. 의의 근기법 제21조는 「이 법에서 ’단시간 근로자‘ 라 함은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이 당해 사업장의 동종 업무에 종사하는 통상 근로자의 1주간의 소정근로시간에 비하여 짧은 근로자를 말한다. (근기법 제25조 1항) 이에 따라 단시간 근로자도 주휴, 월차, 연차휴가와 생리,산전후 휴가 등이 법적으로 보장된다된다. 1. 근로계약의 체결시 근로조건 명시 사용자가 단시간 근로자를 고용할 경우에는 임금, 근로시간 기타의 근로조건을 명확히 기재한 근로계약서를 작성하여 근로자에게 교부하여야 하며 근로계약서에는 계약기간, 근로일, 근로시간의 스타트과 종료시각, 시간급임금 기타 노동부장관이 정하는 사항이 명시되어야 한다(시행령 별표1의2). 실제로 단시간 근로자에게 적용되어야 할 취업규칙이 없거나 또는 채용시 근로조건을 명시하지 않음으로써 계약상, 근기법상의 권리보장이 불안정하게 될 수 있으므로 근로조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담을 근로계약서를 근로자에게 ‘교부’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