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y(역사) 학] 금제태환이식에 대하여 / 금제태환이식에 대하여.. ▒ 지정번호 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20:20
본문
Download : [역사학] 금제태환이식에 대하여.hwp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귀걸이 가운데 가장 정교하고 화려한 것으로 완숙기에 접어든 신라의 금속 공예기술을 잘 보여주는 매우 뛰어...
금제태환이식에 대하여.. ▒ 지정번호 국보 제90호 ▒ 지정연월일 19...
[history(역사) 학] 금제태환이식에 대하여 / 금제태환이식에 대하여.. ▒ 지정번호 국
다. 일반적으로 귀걸이는 몸체가 되는 둥근고리에 다시 몇 개의 고리가 연결되고, 그 아래 장식이 달리는 형식으로, 몸체의 크기와 굵기에 따라 굵으면 태환, 가늘고 작으면 세환이식으로 분류된다된다. 이 귀걸이 1쌍은 경주 보문동 부부총(夫婦塚)에서 출토된 것이다. 중심고리의 지름은 3.5㎝로 신라의 귀걸이 가운데 가장 크며 심엽형(心葉形)의 중간장식도 37개나 달려 있고 중간장식의 가장자리와 중앙에도 장식이 되어 있어 매우 화려하다. 몸체는 태환ㆍ세환 모두 무게를 줄이기 위해 속이 비워져 있는 상태이다. 이 태환이식은 몸체가 되는 커다랗고 둥근 고리에 타원형의 중간고리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아래에는 나뭇잎 모양의 화려한 장식들이 매달려 있다아 커다란 둥근 고리에는 거북등 무늬와 같이 육각형으로 나누어 그 안에 4엽 또는 3엽의 꽃을 표현하였다. 맨 아래 장식에도 금 알갱이가 붙어 있다아 이 귀걸이는 지금까지 출토된 태환이식 가운데 제작시기가 가장 늦은 것이다. 꽃 하나 하나에 금실과 금알갱이〔金粒〕로 장식한 누금세공법 (누金細工法)을 이용하는 세밀함을 보여주고 있다아 밑 부분에는 나뭇잎 모양의 작은 장식들을 금실로 꼬아서 달고 장식 끝에 커다란 하트모양을 달았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역사학] 금제태환이식에 대하여-1072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11/%5B%EC%97%AD%EC%82%AC%ED%95%99%5D%20%EA%B8%88%EC%A0%9C%ED%83%9C%ED%99%98%EC%9D%B4%EC%8B%9D%EC%97%90%20%EB%8C%80%ED%95%98%EC%97%AC-1072_01.gif)




설명
금제태환이식에 대하여.. ▒ 지정번호 국보 제90호 ▒ 지정연월일 19...
Download : [역사학] 금제태환이식에 대하여.hwp( 94 )
역사학 금제태환이식에 대하여 / 금제태환이식에 대하여.. ▒ 지정번호 국
순서
금제태환이식에 대하여.. ▒ 지정번호 국보 제90호 ▒ 지정연월일 1962년 12월 20일 ▒ 시 대 신라시대 ▒ 규모·양식 1쌍, 길이 8.7㎝, 누금(鏤金)기법 ▒ 재 료 금 ▒ 소 유 자 국유 ▒ 소 재 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번지 국립중앙박물관 금제 태환이식이란, 금으로 만든 굵은 고리의 귀걸이를 말한다. 신라의 귀걸이에는 대부분 서역에서 전래된 누금세공법이 매우 능숙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태환과 수식 전체에 걸쳐 누금세공법으로 장식한 예는 이 유물이 대표적인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