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oretical and Conceptual basi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Psycholo…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8 17:19
본문
Download : Theoretical and Conceptual basi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Psychology.hwp
한국인에게는 우리성-정관계의 형성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제 3자보다는 가까운 사람의 행동과 마음에 더욱 민감하며, 특히 상대의 행동이 자신이 상대에 대해 느끼는 정이나 우리성의 정도에 못 미치는 행동을 했을 때, 이 행동을 자신과 상대와의 관계에 비추어 reflect해 보는 관계-행동 재조명 활동이 활성화된다된다. 여기서 심정은 단순한 feeling이나 emotion이라기 보다는 상황적으로 느껴진 feeling과 emotion을 유발한 사건에 대한 인지적 해석까지를 포함하는 감정·인지 복합체이다. 이렇게 느껴진 마음은 다시 상대의 자신에 대한 우리성-정마음의 정도를 재해석하는 단서가 된다된다. 이때의 심정토로는 자신이 왜 섭섭하게 느꼈는가에 대한 이유와 더불어 자신의 섭섭한 감정을 이야기하는 형태를 띤다.
Download : Theoretical and Conceptual basi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Psychology.hwp( 70 )
여기서 심정(心情)은 mind를 뜻하는 심(心)과 affection을 뜻하는 정(情)의 합성어로서 상대에 대한 ‘felt mind’와 이와 연계된 ‘emotion’을 말한다. 이처럼 심정은 정태적 …(drop)
설명
Theoretical and Conceptual basi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Psychology
,기타,레포트
레포트/기타
여기서 심정(心情)은 mind를 뜻하는 심(心)과 affection을 뜻하는 정(情)의 합성어로서 상대에 대한 ‘felt mind’와 이와 연계... , Theoretical and Conceptual basi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Psychology기타레포트 ,
여기서 심정(心情)은 mind를 뜻하는 심(心)과 affection을 뜻하는 정(情)의 합성어로서 상대에 대한 ‘felt mind’와 이와 연계...






순서
다. 이때 결과적으로 느껴지는 자신의 felt mind가 곧 심정이다. 보통 felt mind는 자신과 무관한 사람에 대하여 보다는 우리성-정관계나 친밀관계에 있는 사람에 대하여 잘 나타난다. 우리성-정관계에서 상대가 자신의 정수준에 못미치는 행동을 했다고 해석될 때 섭섭하거나 야박한 심정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심정을 상대방에게 토로하는 경우가 많다. 제 3자 관계에서는 행동을 중심으로 한 immediate한 이해관계가 상호작용과 관계 맺음의 주요한 관심사가 되나 우리성-정관계에서는 immediate한 이해관계보다는 장기적인 관계 맥락과 행위의 이면에 있는 마음이 더욱 중요한 관심사가 되므로 felt mind인 심정경험과 심정 교류가 활성화된다(Choi & Kim, 1997).
우리성-정관계에 있는 당사자들 간의 상호작용에서 심정이 민감하게 활성화되는 context는 상대의 언행이 기존의 우리성관계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나 암시성을 갖는 것으로 느껴지거나 해석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