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학기 우리말의history(역사) 교재전범위 core요약노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0 06:00
본문
Download : 20201_핵심요약노트_국문4_우리말의역사.pdf
(2) 대상
(1) 목적
제6장 전기 중세국어(1)
2. 연구방법
<출제예상문제>
Download : 20201_핵심요약노트_국문4_우리말의역사.pdf( 59 )
제9장 후기 중세국어(2)
제10장 후기중세 국어(3)
② 방언학
1. 다음 중 국어사 연구에 대한 설명(explanation)으로 틀린 것은?
제13장 근대국어 (1)
※ 국어사 연구의 가장 기본적 방법론: 歷史언어학(통시언어학)
다.
제1장 국어사의 연구방법
- 중략 -
③ 국어사의 연구는 통시언어학의 영역에 속한다.
제15장 현대국어
③ 비교연구: 시대가 다른 문헌을 비교해 음운, 어휘, 문법의 발달 확인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
[해설]
제3강 국어의 형성





1. 국어사의 연구 목적과 대상
순서
2020년 1학기 우리말의history(역사) 교재전범위 core요약노트
※ 문자체계의 차이보다 음운체계의 變化에 관심多
제14장 근대국어(2)
② 언어는 음운체계, 문법체계, 어휘체계가 유기적으로 결합한 것이고, 그 變化는 체계 전체에서 일어난다.
교재 전 범위 핵심체크+출제예상문제
제2장 국어의 계통
제11장 후기중세 국어(4)
- 중략 -
① 국어사 연구의 목적은 국어의 계통과 형성을 구명하며, 음운 ․ 어휘 ․ 문법상의 變化 규칙을 밝히는 것이다.
제1장 국어사의 연구방법 제2장 국어의 계통 제3강 국어의 형성 제4장 문자체계 제5장 고대국어 제6장 전기 중세국어(1) 제7장 전기 중세국어(2) 제8장 후기 중세국어(1) 제9장 후기 중세국어(2) 제10장 후기중세 국어(3) 제11장 후기중세 국어(4) 제12장 후기 중세국어(5) 제13장 근대국어 (1) 제14장 근대국어(2) 제15장 현대국어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해설포함) -
② 음운, 어휘, 문법상의 變化 규칙 밝힘
① 국어의 계통과 형성 구명
제4장 문자체계
① 내적재구: 어떤 공시적 상태가 보여주는 암시에 근거해 그 이전의 상태를 재구성
설명
[정답] ④
방송통신 > 핵심요약노트
국어가 겪어온 모든 變化
제12장 후기 중세국어(5)
제7장 전기 중세국어(2)
제5장 고대국어
제8장 후기 중세국어(1)
국어사의 연구대상은 국어가 겪어 온 모든 變化가 해당된다.
④ 국어의 문법 變化만 국어사 연구의 대상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