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4 21:55
본문
Download : 에릭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hwp
또, 저자는 신약성서에 나타난 소유와 존재에 대상으로하여 유대교가 아닌 고대의 기독교는 소유의 구조를 완전히 거부 했다고 이야기 하고 있따 또 실제로 고대 기독교의 공동 사회는 재산을 철저히 부인해 온것이 사실이다. 즉 안식일에야 비로소 온전한, 소유에 얽매이지 않는 자기 자신이 될수 있따 그러나 오늘날에 이 안식일과 같은 의미의 일요일은 존재를 위한 날이 아니라 소유 위에서 언급한 소유중에서도 소비를 하기위한 날이 되어 버리지 않았나 한다. 가난하고 짓밟힌 계급에 속하지 않는 유대인들은 새시대의 도래를 기대하며 예수가 아닌 새로운 메시아를 기다렸고 이것이 오늘날의 유태교이다. 하지만 안식일은 소유하지않고 존재만 하는 날이다. 그리고 좀전에 언급한 초기 기독교의 극단주의는 초대 교회의 교부들의 저작에서 쉽게 찾아진다. 이들은 매우 소수였고 무시당하고 짓밟혀 왔기 때문에 매우 극단적인 노선을 띄게 되었고 결국 이는 유대교와 기독교가 분리되게 된 이유일것이다.,경영경제,레포트
설명
[ 나는 존재한다 = 내가 가지고 있는 것 & 내가 소비하는 것 ]
에릭프롬은 구약성서에서 나타난 소유와 존재 양식과 현대의 소유 존재 양식을 비교하면서 아래와 같이 이야기하고 있따 구약에서 소유와 존재의 가장 중요힌 포인트는 안식일이다. 이들내용의 중점은 결국은 소유에 중점을 두지 말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소유에 대한 갈망의 단절은 고대 불교가 지금 언급한 구약이나 신약보다 더 강조 하고있따
에릭프롬은 에크하르트의 소유의 concept(개념)에 대상으로하여 아무것도 갖지 않는 사람은 어떤것에 대상으로하여도 탐욕을 갖지 않는 사람이라고 이야기하면서 이것이 에크하르트의 비 집착 concept(개념)의 본질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따 또 에크하르트에게 있어서의 ‘ 알지 못한다’ 의 concept(개념)을 지식을 ‘소유함’ 과 ‘인식행위’ 간의 차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따 에크하르트는 또 우리가 어떤것을 알고 있는 ‘것’ 을 잊어야 하는것이 아니라 그것을 알고 있다는 사실자체…(drop)
레포트/경영경제
에릭프롬의소유냐존재냐
순서
에릭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
Download : 에릭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hwp( 37 )



에릭프롬의소유냐존재냐 , 에릭 프롬의 `소유냐 존재냐`경영경제레포트 ,
다. 구약에서의 안식일은 하루를 쉰다는 세속적인 의미의 휴식이다.